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인보이스 (샘플 양식 첨부)
    수출입업무 2022. 7. 8. 17:05
    반응형

    국내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 거래를 하면 세금계산서를 주고받는 것으로써 대금을 청구하고 지급하게 됩니다. 

    그러나, 해외에 있는 회사와 거래를 할 경우 세금계산서 대신 인보이스(Invoice)를 주고받게 됩니다. 인보이스는 대금 청구/지급 관련해서도 중요한 서류이지만 수출입 통관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서류입니다. 

    (인보이스가 없으면 무엇을 거래하려고 하는지도 알 수 없고, 상품의 가치도 알 수가 없기 때문에 그에 따른 관세도 산정할 수 없으니 당연하겠지요....)

    이번 포스트에서는 인보이스 샘플 양식을 첨부해 드립니다.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은 실제 상황에 맞게 수정하셔야 합니다. 또한, 인보이스 작성 시 주의할 점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립니다.

    인보이스 (Invoice) 양식.xls
    0.05MB

     

     

    (1) Invoice No. : 인보이스 번호. 번호를 만드는 규칙은 사장님 임의대로 정하시면 됩니다. 저는 날짜(20220706)-회사이름(SS)문서발행순서(001)로 만들어 보았습니다. => 20220706-SS001

     

    (2) Biz Registration No. : 사업자등록 번호

     

    (3) Bank : 거래 대금을 받기 위해 외화 거래 계좌를 개설한 은행명 / 지점명. 계좌 번호 (Account No.)와 SWIFT 코드 (SWIFT Code)도 기입해야 한다는 것을 절대 잊지 마십시오. 

     

    (4) 'Invoicing' & 'Delivery' : 어느 회사의 사무실과 공장 또는 창고가 다른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인보이스를 받아서 대금 지급을 처리해 주는 부서와 실제 물건을 사용/보관하는 부서가 다를 수 있습니다. 이때, 인보이스를 처리해 주는 부서가 있는 주소를 'Invoicing'에 기입하고 실제 물건을 사용/보관하는 부서가 있는 주소를 'Delivery'에 기입해 주십시오. 

    두 주소가 서로 같다면 'Delivery'에 'Same as Invoicing Address'라고만 기입하시면 됩니다.  

     

    (5) 'Currency'에는 어떠한 통화로 계약했는지 정확히 기입하시기 바랍니다. 

     

    (6) 맨 끝부분의 'Signature'에는 회사의 명판 및 직인을 날인하시고 그 위에 사장님 사인을 해 주십시오. 제가 거래했던 회사들은 각자의 스타일(?)데로 저에게 '명판+사인', '명판+직인', '명판+직인+사인'을 요청했었는데, 제가 귀찮아서 모든 인보이스에 '명판+직인+사인'을 하니까 매우 편했습니다. 

     

    앞으로 인보이스 작성에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를 바랍니다. 
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