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수입정산내역서의 용어 - BAF/CAF/CIC/LSS 등수출입업무 2022. 6. 27. 17:19반응형
무역 업무를 하다 보면 포워더를 통해 물품을 운송해야 하는데, 그때 포워더가 사장님께 수입정산내역서라는 것을 보내올 것입니다. 수입 시 운임 등의 모든 제반 비용을 계산해서 보내 주는 것으로써 포워더는 그 돈을 받아 각종 비용을 처리하고 남으면 사장님에게 남은 돈을 돌려 드리고, 모자라면 더 청구하는 개념입니다.
아무리 포워더를 믿고 일한다고 해도 포워더가 어떤 내용으로 돈을 청구하는지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 내 돈을 남에게 주면서 최소한 뭐 때문에 주는지는 알아야 하니까요... 따라서, 이번 포스트에서는 포워더의 수입정산내역서의 항목에 기입되어 있는 암호 코드(?) 같은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OCEAN FREIGHT : 해상 운임, OCEAN FREIGHT CHG (CHARGE의 줄임말)로도 표기
2. BAF/CAF/CIC/LSS :
BAF : Bunker Adjustment Factor, 유류 할증료
CAF : Currency Adjustment Factor, 통화 할증료
CIC : Container Imbalance Charge, 컨테이너 수급 불균형 비용
LSS : Low Surphur Surcharge, 저유황유 할증료
유류비 상승, 환율 변동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선사의 손해를 보존하고자 하는 할증료 항목들입니다.
3. T.H.C : Terminal Handling Charge, 터미널 화물 처리비
화물이 컨테이너 야적장(CY, Container Yard)에 입고된 순간부터 본선의 선 측까지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비용
4. WHARFAGE : 부두 사용료, W/F라고도 함.
5. CONTAINER CLEANING CHG : 컨테이너 세척료
컨테이너 사용 후 반납 시 청소를 하는 비용. 청소가 필요하지 않은 화물도 있을 수 있으나 모든 화물에 일괄적으로 부과.
6. DRAYAGE CHARGE : 보세창고 운송비용
LCL(Less than Container Load, 소량 화물 - 전체 컨테이너 일부만 차지하는 화물) 화물 진행 시 화물을 분류, 보관하기 위해 CFS (Container Freight Station) 또는 보세 창고로 운송하는 비용
7. DOCUMENT FEE : 선사에서 청구하는 서류(B/L) 발급 비용
8. HANDLING CHARGE : 포워더 수수료
9. D/O CHG : Delivery Order Charge, 화물인도 지시서. 포워더에서 청구하는 수입 화물의 출고증 발행 비용.
10. TRUCKING CHARGE : 트럭으로 운송하는 비용. 즉, 내륙운송비용. TRUCKAGE라고도 함.
11. STORAGE CHG : 보관료
터미널에서 컨테이너를 보관해 주는 비용. 수출입 시 터미널에 컨테이너를 놓아두는 것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터미널 사용료라고 봐도 무방합니다.
12. 관세 : 화물의 관세. 주의할 점은 제품의 FOB 가격+ 항구까지 운송비 + 보험료의 합에 (결론적으로 CIF 조건 시의 화물 가격) 관세율을 곱한 것이 관세라는 것입니다. CIF 조건 시 화물 가격 x 관세율 (%) = 관세
13. 부가세 : (CIF 조건 시의 화물 가격 + 관세) x 10%
14. 통관수수료 : 관세사 수수료
위에서 많은 용어를 설명드렸지만 그것들 외에도 많은 다른 용어들이 존재합니다. 그래도 위의 용어 정도만 아시면 수입 시 어떤 비용이 들어가고, 포워더에게 그 비용을 주는 것이 맞는지 이해가 되실 겁니다.
반응형'수출입업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TA 관세 - 모두 0%가 아니다? - 품목에 따라 다르다 (0) 2022.07.30 비자 초청장 (VISA Invitation Letter) - 샘플 양식 첨부 (0) 2022.07.26 HS코드 / HSK코드란? (0) 2022.07.20 인보이스 (샘플 양식 첨부) (0) 2022.07.08 인코텀즈(INCOTERMS, 무역거래조건)란? (0) 2022.06.20